사이트맵회원정보수정로그인회원가입

제목

생산성 관리(제5장 요약집)

등록자IEbiz컨설팅

등록일2023-02-06

조회수133,879

- 생산성의 정의
생산활동 과정(過程)을 통해 획득(獲得)한 산출물(産出物)과
이를 위해 사용되어진 제반 투입요소(投入要素)와의 비율. 

1)정형화(定型化)된 프로세스(Process)
  : 의도된 산출물(産出物)의 획득을 위해 필요한 공정(工程), 제조의 주체, 물류(物流), Layout,
    작업순서 및 방법 등에 대한 기준(基準)을 마련하고, 그 과정(過程)을 표준화(標準化)한 것. 

- 구성요소
생산성은 해석 범주(範疇)와 투입요소(投入要素)에 따라 분류 및 관리명칭이 달라짐. 

- 공수관리 시스템
생산성의 체계적인 관리 및 분석방법을 표준화(標準化)하고
제반 생산성의 정도(程度)를 측정ㆍ비교ㆍ평가하여
그 변화관리와 질적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System) 

2)공수관리(工數管理) 시스템(System)
  : 생산활동을 위해 사용된 또는 사용되어질 투입량을 MH(Man Hour) 형태로 환산(換算)하고,
    실적(實績) 또한 총 시간(Hour)의 개념(槪念)으로 변환하여 이를 지표관리에 활용하는 시스템. 

<일반 용어>
         ○ 공수(工數)
          : 사람(작업자)나 기계가 할 수 있는 일의 량(量) 또는 해낸 일의 량(量)을
            시간적(時間的) 물리량(物理量)으로 나타내는 수치(數値). 

         ○ 표준시간(標準時間 : S/T = Standard Time)
          : 보통의 숙련도(熟練度)를 가진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조건 하(下)에서
            성과급(成果給)에 자극없이 제품 1단위(單位=1EA)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주기적인 시간. 

         ○ 정상작업일(定常作業日)
          : 특근일(공휴일, 국경일 및 회사별 휴무일로 규정된 특정일에도 근무하는
            경우의 해당 작업일) 이외의 근무일(勤務日)을 말하는 것으로, 급여지급
            체계에 규정된 일정한 작업일(作業日). 

       ○ 법정휴지시간(法定休止時間) 또는 계획휴지시간(計劃休止時間)
          : 작업자의 노동환경 보호를 위해 규정한 휴식시간과 설비의 효율적 성능
            발휘를 위해 계획된 보전활동(保全活動) 시간 등과 같이 현실을 감안하여
            각 기업이 설정한 계획적 정지시간을 총칭하는 휴지(休止) 시간.
        
         ○ 정상작업시간(定常作業時間) 또는 취업시간(就業時間)
          : 1일(日) 주어진 3)근무시간 中, 법정휴지시간(法定休止時間 : 계획된 정지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의 시간을 칭하는 것으로, 순수하게 작업활동(=조
            업활동)에 소요되도록 규정된 시간. 

         ○ 실적생산량(實績生産量)
          : 라인(Line) 또는 공정(工程) 단위로 구성된 정형화(定型化)된 제조 프로세
            스(Process)에서 최종작업이 완료되어 고객(Customer 또는 이후 제조 프
            로세스)에 납기(Delivery)가 가능하도록 완성된 양품(良品) 수량.  
       
         ○ 총 인원(人員) 
          : 제조활동(製造活動)을 위해 구성된 라인(Line) 또는 공정(工程) 단위에서
            해당 소속원(所屬員)으로 포함된 구성원(構成員) 전체를 칭하는 것으로서,
            생산(제조) 직접인원(直接人員)과 간접인원(間接人員)의 총합(總合).
       
         ○ 생산(제조) 직접인원(直接人員) 
          : 라인(Line) 또는 공정(工程) 단위에서 제조활동 과정(過程)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순수 작업인원(作業人員)을 칭하는 것으로, 조립(組立)ㆍ가공(加
            工) 작업자 뿐만 아니라 공정 내(內) 검사(檢査)ㆍ조정(調整) 작업자 등을
            포함하여 공수관리 시스템(System)에서 생산직접공수(生産直接工數)로 분
            류된 해당 인원(人員).

               ※ 기업에 따라 생산직접공수 인원과 생산간접공수 인원에 대한 분류기준이 다소 상이
                  (相異)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기업별 상황을 고려하여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上記)의 직접인원에 대한 공수(工數)만을 순수한 생산직접공수로 적용
                  하고 하기(下記)의 간접인원에 대한 공수(工數)는 생산간접공수로 분류ㆍ관리하는
                  것이 통상(通常)적이다.
       
         ○ 생산(제조) 간접인원(間接人員) 
          : 관리감독자(管理監督者 : 직장ㆍ반장 등) 및 조장(組長) 등과 같이 원활한
            제조활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4M 요소를 관리(Management)하고 지원ㆍ
            감독하는 인력(支援人力)을 칭하는 것으로, 공수관리 시스템(System)에서
            생산간접공수(生産間接工數)로 분류된 해당 인원(人員). 

<공수의 분류 및 용어해설>
         ○ 재적공수(在籍工數)
          : 의도된 제조(생산)활동을 위해 일련의 프로세스(Process) 단위(單位)로 구
            성된 라인(Line) 또는 공정(工程)에서 해당 조직의 구성원으로 소속된 총
            인원(=재적인원)에 대한 공수.
               ※ 재적인원 = 단위 라인 또는 공정에 소속된 생산(제조) 직접인원 + 간접인원
               ※ 재적공수 = 재적인원 × 정상작업시간(定常作業時間 = 조업시간 or 근무시간 등) 

         ○ 추가공수(追加工數)
          : 재적공수(在籍工數)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적인 공수를 칭하는 것으로, 정
            상작업시간(定常作業時間) 이외에 진행되는 잔업(殘業)이나, 타(他) 라인
            (Line) 또는 공정(工程)에 소속된 재적인원(在籍人員)을 지원(支援) 받는
            등의 사유(事由)로 인해 발생.
               ※ 추가공수 = 해당인원 × 해당 소요시간 

         ○ 휴업공수(休業工數)
          : 재적인원 중 제조활동(실제 작업)에 투입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공수를
            칭하는 것으로, 결근(缺勤)ㆍ휴가(休暇)ㆍ출장(出張)ㆍ조퇴(早退)ㆍ교육(敎
            育), 지원(支援) 보냄 등의 사유(事由)로 인해 발생.
               ※ 휴업공수 = 휴업인원 × 해당 소요시간  
                   

         ○ 작업공수(作業工數) 또는 취업공수(就業工數)
          : 정상작업시간(定常作業時間) 또는 취업시간(就業時間) 동안에 제조(생산)
            활동을 위해 실제 투입된 전체 인원에 대한 공수를 칭하는 것으로, 재적
            공수(在籍工數)에 추가공수(追加工數)와 휴업공수(休業工數)를 가감(加減)
            한 공수.
               ※ 작업공수 = (재적공수 - 휴업공수) + 추가공수    

         ○ 총 보유공수(保有工數)
          : 의도된 제조(생산)활동을 위해 보유(保有)하고 있는 인원에 대한 공수로서
            작업공수(作業工數)와 휴업공수(休業工數)를 포함한 전체 공수를 칭한다.
               ※ 총 보유공수 = 재적공수 + 추가공수
                              = 작업공수 + 휴업공수 

         ○ 유실공수(遺失工數) 
          : 제조(생산)활동에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진 시간에 대한 공수를 칭하는
            것으로, 결품(缺品)ㆍ품절(品切) 등과 같이 단위 라인(Line) 또는 공정(工
            程)의 4)외적과실(外的過失)로 인해 초래되는 비가동(= Line Stop) 공수.
               ※ 유실공수 = 유실인원 × 해당 소요시간 
     

         ○ 실동공수(實動工數) 또는 실가동공수(實稼動工數)
          : 실가동시간 동안 제조(생산)활동에 사용된 공수를 칭하는 것으로, 작업공
            수(作業工數)에서 유실공수(遺失工數)를 차감(差減)한 실제 사용 공수.
               ※ 실동공수 = 작업공수 - 유실공수   
       

         ○ 표준공수(標準工數) 또는 표준생산량공수(標準生産量工數)
          : 획득한 실적생산량(實績生産量)에 대해 기종별(機種別)ㆍ모델별(Model別)
            표준시간(標準時間 : S/T)의 합계(合計)를 나타낸 공수. 
               ※ 표준공수 = ∑ (기종 또는 모델별 S/T × 실적생산량)    
    

         ○ 작업Loss 공수(工數)
          : 실가동시간(實稼動時間) 동안 능률(能率)로 발휘되지 못한 공수를 칭하는
            것으로, 기종변경(Job Change) 지연(遲延), 고장(故障), 공정 Unbalance,
            작업능률(Performance) 저하(低下) 등의 요인(要因)에 의해 발생. 

3)근무시간
  : 의도된 업무활동의 개시(開始) 시점부터 종료(終了) 시점까지의 해당 소요시간을 칭하는 것으로
    통상(通常), 동일(同一)한 의미로 정상작업시간(定常作業時間)을 대신하여 근무시간(勤務時間)
    또는 취업시간(就業時間), 조업시간(操業時間), 가동시간(稼動時間) 등의 용어로 혼용(混用)됨. 

4)외적과실(外的過失)
  : 자사(自社) 또는 자공정(自工程)과 프로세스(Process)적으로 연결되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외부인자(外部因子 : 협력사, 前ㆍ後공정 등)이 유발시키는 과실(過失)  

- 공수(효율) 구조도
    공수관리 시스템(System)을 통해 생산성의 정도(程度)를 효율적으로 측정하고,
    비교ㆍ평가하기 위해서는 공수(工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이 작용(作用)
    하고 있는 상호(相互)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공수(工數)의 유형별(類型別) 비중(Weight)을 가시화(可視化)하고, 가동율
    (稼動率)이나 작업능률(作業能率) 등과 같은 생산성 지표(指標)와 그 인과관계(因果
    關係)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因子)를 쉽게 파악하여 바람직한 관리(管理)가 가능하
    도록 생산성 관련 공수(工數)의 작용구조(作用構造)를 간편한 트리(Tree) 형태로
    나타낸 것이 공수(효율) 구조도(構造圖)이다. 


- 생산성 관리지표

"공수효율(工數效率) 중심의 평가척도(評價尺度)를 통해
노동생산성의 성과(成果) 정도와 그 진인(眞因)을 파악ㆍ관리"
제조(생산) 중심의 기업 현장(現場)에서 노동생산성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고
비교ㆍ평가하여 공수관리에 활용하는 관리지표(指標)에는, 작업공수효율(作業工數
效率)과 실동율(實動率) 그리고 실동공수효율(實動工數效率) 등이 있다. 

 

5)내적과실(內的過失)
  : 자사(自社) 또는 자공정(自工程)의 내적요인(內的要因 : 기종변경능력, 공정편성능력, 설비보전
    능력 등)이 제조 프로세스(Process)에 직접적으로 악(惡) 영향을 미쳐 공수의 로스(Loss)를
    유발시키는 과실(過失).


<설비생산성 지표구조와 용어해> 

       ○ 조업시간(操業時間)
        : 1일(日) 주어진 근무시간(勤務時間)의 개시(開始) 시점부터 종료(終了) 시점
          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칭하는 것으로, 설비의 경우 가동율(稼動率) 100%를
          지향(指向)하기 때문에 통상, 식사시간 및 휴식시간 등도 모두 포함한다.
 

       ○ 부하시간(負荷時間 : Loading Time)
        : 1일(日) 근무시간 중, 휴식시간ㆍ식사시간 등과 같은 법정휴지시간(法定休止
          時間)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칭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작업조건 下에서
          설비가 실제로 가동되어야 할 시간 즉, 노동생산성 지표의 정상작업시간(定
          常作業時間)과 동일한 의미(意味)를 가진다.
            ※ 기업에 따라 설비가동율 중심의 관점(觀點)에서 부하시간=조업시간을 적용하기도 함.
            ※ 부하시간 = 조업시간 - 법정휴지시간
 

       ○ 가동시간(稼動時間 : Operating Time)
        : 부하시간에서 정지시간(停止時間)을 제외한 시간을 칭하는 것으로 설비가
          실제로 가동하는 시간을 말한다.    
            ※ 가동시간 = 부하시간 - 정지시간
 

       ○ 정지시간(停止時間 : Down Time)
        : 품절(品切)ㆍ품질(品質)문제와 같은 관리Loss와 설비의 고장정지(故障停止),
          그리고 기종변경(Job Change)ㆍ작업준비 등과 같은 계획적 또는 비계획적
          요인(要因)으로 인해 설비가 가동하지 못하고 정지(停止)된 시간.  
            ※ 통상, 정지(停止)와 순간정지(瞬間停止)를 구분ㆍ관리하는 기업의 경우 5분 이상(以上)을
               정지시간(停止時間)에 포함하고 5분 이하(以下)의 정지는 순간정지(瞬間停止)로 적용 함.
 

       ○ 실가동시간(實稼動時間 : Actual Operating Time)
        : 설비에 주어진 현재의 기능(機能)ㆍ성능(性能)을 기준으로 제품생산을 위해
          소요한 순수(純粹) 가동시간. 
            ※ 실가동시간 = 완성수(양품ㆍ불량품 모두 포함) × 실제C/T
 

       ○ 실제C/T(實際C/T : Actual Cycle Time)
        : 설비가 현재 작업조건ㆍ환경ㆍ방법 등으로 제품을 1단위(1EA)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주기적인 실제(實際) 작업소요시간.  
 

       ○ 순간정지시간(瞬間停止時間 : Short Term Down Time)
        : 계획적ㆍ비계획적 요인(要因)으로 인해 설비가 일시적으로 정지(停止) 또는
          공회전(空回轉) 함으로써, 제조(생산)활동을 지속하지 못하고 정지된 시간.      
            ※ 통상, 5분 이하(以下)의 정지를 칭함.
 

       ○ 성능가동시간(性能稼動時間 : Efficiency Operating Time)
        : 설비 도입시(導入時) 부여된 기능(機能)ㆍ성능(性能)을 기준으로 제품생산을
          위해 소요한 순수가동시간(純粹稼動時間).
            ※ 성능가동시간 = 완성수(양품ㆍ불량품 모두 포함) × 표준C/T(=이론C/T)
 

       ○ 표준C/T(標準C/T : Standard Cycle Time) = 이론C/T(理論C/T)
        : 설비가 정상적인 작업조건 하(下)에서 제품을 1단위(1EA) 생산하는데 소요
          되는 주기적인 작업소요시간의 이론치(理論値)를 칭하는 것으로, 이상치(理
          想値) 또는 목표치(目標値)를 추구하여 노동생산성 지표의 표준시간과 유사
          한 의미를 가진다.
 

       ○ 속도저하(速度低下 : Speed Lower)
        : 설비 도입시(導入時) 부여된 성능ㆍ기능과 실제 제조(생산)활동에서 발휘된
          성능ㆍ기능의 차이(差異)에 대한 Cycle Time.
            ※ 속도저하 = 실제C/T - 표준(이론)C/T   
      

       ○ 가치가동시간(價値稼動時間 : Value Operating Time)
        : 설비 도입시(導入時) 부여된 성능ㆍ기능을 기준으로 양품(良品)만을 생산하
          는데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 가치가동시간 = 양품수 × 표준C/T(=이론C/T)


     ○ 시간가동율(時間稼動率 :             )
      : 부하시간 동안 설비가 정지(停止)하지 않고 주어진 고유기능의 발휘를 위해
        가동한 시간에 대한 비율(比率)을 칭하는 것으로, 관리Loss와 고장정지Loss
        및 준비교체Loss 등의 인자(因子)에 의해 유발되는 정지시간(停止時間)이 로
        스(Loss)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
           -.관리Loss .......... 관리자(管理者)의 관리Miss로 인해 유발되는 Loss 요인
                             ex) 예측된 품절(品切), 불량 재작업(再作業) 등
           -.고장정지Loss ... 주어진 설비의 기능 상실(喪失 : Trouble)로 인해 유발되는 Loss 요인
                             ex) 설비고장(設備故障) 등
           -.준비교체Loss ... 이종(異種) 제품생산으로 인해 유발되는 Loss 요인
                             ex) 기종변경(Job Change), 작업준비 등
          ※ 시간가동율 = (가동시간 ÷ 부하시간) × 100(%)
 

     ○ 실질가동율(實質稼動率 :             )
      : 부하시간 동안 설비가 정지(停止)하지 않고 주어진 고유기능의 발휘를 위해
        가동한 시간에 대한 비율(比率)을 칭하는 것으로, 관리Loss와 고장정지Loss
        및 준비교체Loss 등의 인자(因子)에 의해 유발되는 정지시간(停止時間)이
        로스(Loss)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
           -.관리Loss .......... 관리자(管理者)의 관리Miss로 인해 유발되는 Loss 요인
                             ex) 예측된 품절(品切), 불량 재작업(再作業) 등
           -.고장정지Loss ... 주어진 설비의 기능 상실(喪失 : Trouble)로 인해 유발되는 Loss 요인
                             ex) 설비고장(設備故障) 등
           -.준비교체Loss ... 이종(異種) 제품생산으로 인해 유발되는 Loss 요인
                             ex) 기종변경(Job Change), 작업준비 등
          ※ 시간가동율 = (가동시간 ÷ 부하시간) × 100(%)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